페이지 정보
작성자 짓다 작성일 25-06-13 17:24 조회 68 댓글 0[리얼토크 논문쓰기 워크숍] 11기
강의 문규민 접수 2025-06-13~2025-07-26 일정 2025.07.12~08.30 / 매주 토요일 / 오후 2:00~4:00 / 총 8강
본문
논문을 쓴다는 것이 도대체 어떤 일인지 알 기회가 없었던 당신에게, 본 과정의 효과는 4년 동안 수강생들의 졸업과 논문 출판 등으로 증명되고 있습니다.
과정을 충실하게 따라온 수강생들은 과정이 끝날 때쯤 당장 어디서라도 발표할 수 있는 서론+목차+초록(+프로포절)을 가질 수 있을 것입니다.
[짓;다 글쓰기 코스]
(인문사회/예체능 전공자를 위한) [리얼토크 논문쓰기 워크숍] 11기
#유튜브 복습링크 제공
- 모든 수강자에게 제공되며, 다시보기 기간은 일주일로 제한되어 있습니다. 복습영상 링크는 강의 다음날 신청서에 작성된 메일로 보내드립니다.
- 실강에 참여하지 못하더라도, 복습영상으로 수강하고 질문할 수 있습니다.
- 복습영상으로 수강하시더라도 과제 제출일은 동일합니다.
# 강좌 개요
- 일시: 2025.07.12~08.30 / 매주 토요일 / 오후 2:00~4:00 / 총 8강
- 강의: 문규민
# 수강 방식
- 대면 수강: 7명
장소: 서울시 영등포구 양산로 91, 리드원지식산업센터 1308호, 공간 짓;다
↳ 영등포구청역 도보 5분 거리, 엘리베이터·휠체어 전용 화장실 있음
- 비대면 수강: 8명 (사용 프로그램_줌Zoom)
## 목표와 구성
논문의 일부를 실제로 완성시켜 보는 것이 본 워크숍의 목표입니다. 이를 통해 논문을 쓴다는 것이 어떤 것인가에 대한 대강의 감을 잡을 수 있길 희망합니다. 워크숍은 전반부 강의와 후반부 실습, 그리고 과제로 구성될 예정입니다. 워크숍에서 다룰 내용은 대략 다음과 같습니다.
1) 워크숍 목표
논문의 핵심 뼈대인 서론 + 목차 + 초록(+프로포절)을 완성합니다.
논문 작성에 필요한 마인드셋, 개념, 스킬을 체계적으로 훈련합니다.
논문을 쓰고 심사를 받는 과정에 대한 '리허설'을 경험할 수 있습니다.
형식적 교육이 아닌 ‘진짜 논문 쓰기’의 내공을 쌓습니다.
2) 워크숍 구성
주제 잡기: 내가 하고 싶은 공부, 왜 남한테 묻나요?
목차의 진짜 용도
표절 문제와 예방: 표절은 왜 생기며 어떻게 피할까?
서론과 초록 쓰기: “내가 이 말을 또 해야 해?”
본문 쓰기: 논문용 글쓰기의 몇 가지 지침들
프로포절 발표와 평가: 논문심사와 말하기의 중요성
출판된 논문을 어디에 어떻게 쓸 것인가?
## 참여 대상
1) 학위논문을 써야 하는데 막막한 대학원생
2) 저널출판이나 학회 발표를 위해 논문을 써야 하는 인문사회/예체능 계열 연구자
3) 논문심사 리허설이 필요하다고 느끼는 석·박사 과정생
4) SNS나 블로그에 연구관련 된 글은 잘 쓰는데, 논문 앞에서는 손이 안 나가는 분
5) 논문 쓰기를 업그레이드하고 싶은 분
##꼭 확인해주세요##
* 커리큘럼과 진도는 워크숍 구성원과 진행상황에 따라 조정될 수 있습니다.
* 본 워크숍은 인문사회과학/예체능 전공 학생/연구자를 위한 과정입니다. 타 전공 학생/연구자는 수강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.
* 본 워크숍은 연구방법론 강의가 아니라 논문 작성을 위한 워크숍입니다.
* 일정상 정해진 강의와 워크숍, 과제 피드백 외에 논문과 관련된 어떤 컨설팅, 대필, 교정도 하지 않습니다.
과정을 충실하게 따라온 수강생들은 과정이 끝날 때쯤 당장 어디서라도 발표할 수 있는 서론+목차+초록(+프로포절)을 가질 수 있을 것입니다.
[짓;다 글쓰기 코스]
(인문사회/예체능 전공자를 위한) [리얼토크 논문쓰기 워크숍] 11기
#유튜브 복습링크 제공
- 모든 수강자에게 제공되며, 다시보기 기간은 일주일로 제한되어 있습니다. 복습영상 링크는 강의 다음날 신청서에 작성된 메일로 보내드립니다.
- 실강에 참여하지 못하더라도, 복습영상으로 수강하고 질문할 수 있습니다.
- 복습영상으로 수강하시더라도 과제 제출일은 동일합니다.
# 강좌 개요
- 일시: 2025.07.12~08.30 / 매주 토요일 / 오후 2:00~4:00 / 총 8강
- 강의: 문규민
# 수강 방식
- 대면 수강: 7명
장소: 서울시 영등포구 양산로 91, 리드원지식산업센터 1308호, 공간 짓;다
↳ 영등포구청역 도보 5분 거리, 엘리베이터·휠체어 전용 화장실 있음
- 비대면 수강: 8명 (사용 프로그램_줌Zoom)
## 목표와 구성
논문의 일부를 실제로 완성시켜 보는 것이 본 워크숍의 목표입니다. 이를 통해 논문을 쓴다는 것이 어떤 것인가에 대한 대강의 감을 잡을 수 있길 희망합니다. 워크숍은 전반부 강의와 후반부 실습, 그리고 과제로 구성될 예정입니다. 워크숍에서 다룰 내용은 대략 다음과 같습니다.
1) 워크숍 목표
논문의 핵심 뼈대인 서론 + 목차 + 초록(+프로포절)을 완성합니다.
논문 작성에 필요한 마인드셋, 개념, 스킬을 체계적으로 훈련합니다.
논문을 쓰고 심사를 받는 과정에 대한 '리허설'을 경험할 수 있습니다.
형식적 교육이 아닌 ‘진짜 논문 쓰기’의 내공을 쌓습니다.
2) 워크숍 구성
주제 잡기: 내가 하고 싶은 공부, 왜 남한테 묻나요?
목차의 진짜 용도
표절 문제와 예방: 표절은 왜 생기며 어떻게 피할까?
서론과 초록 쓰기: “내가 이 말을 또 해야 해?”
본문 쓰기: 논문용 글쓰기의 몇 가지 지침들
프로포절 발표와 평가: 논문심사와 말하기의 중요성
출판된 논문을 어디에 어떻게 쓸 것인가?
## 참여 대상
1) 학위논문을 써야 하는데 막막한 대학원생
2) 저널출판이나 학회 발표를 위해 논문을 써야 하는 인문사회/예체능 계열 연구자
3) 논문심사 리허설이 필요하다고 느끼는 석·박사 과정생
4) SNS나 블로그에 연구관련 된 글은 잘 쓰는데, 논문 앞에서는 손이 안 나가는 분
5) 논문 쓰기를 업그레이드하고 싶은 분
##꼭 확인해주세요##
* 커리큘럼과 진도는 워크숍 구성원과 진행상황에 따라 조정될 수 있습니다.
* 본 워크숍은 인문사회과학/예체능 전공 학생/연구자를 위한 과정입니다. 타 전공 학생/연구자는 수강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.
* 본 워크숍은 연구방법론 강의가 아니라 논문 작성을 위한 워크숍입니다.
* 일정상 정해진 강의와 워크숍, 과제 피드백 외에 논문과 관련된 어떤 컨설팅, 대필, 교정도 하지 않습니다.
관련링크
댓글목록 0
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.